임상심리대학원생/이상심리학10 DSM5 주요정신장애)) 전환장애 DSM5 주요정신장애)) 전환장애 한두 가지의 비교적 분명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며, 운동 기능의 이상이나 신체 일부의 마비, 감각 이상 등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운동기능이상, 감각기능 이상- 경련 또는 발작 - 위의 세가지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2018. 2. 3. DSM5 주요정신장애)) 양극성장애 DSM5 주요정신장애)) 양극성장애 1. 제1형 양극성 장애-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고양되어 상기 제시된 조증 증상 중 3가지 이상(기분이 과민한 상태일 경우 4가지)이 심각한 정도로 나타나야 한다- 비정상적으로 의기양양하거나 지나치게 기분이 고양된 조증상태 (manic episode)가 적어도 1주일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2. 제2형 양극성장애- 조증삽화가 상대적으로 미약하게 나타나는 경조증 삽화(hypomanic episode)를 보인다.- 평상시 기분과는 분명히 다른 의기양양하거나 고양된 기분이 적어도 4일간 지속된다조증삽화( manic episode)(1). 팽창된 자존심 또는 심하게 과장된 자신감(2). 수면에 대학 욕구 감소(3).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계속 말을 하게 됨(4). 사고의 비약.. 2018. 2. 3. DSM5 주요정신장애)) 분리불안장애 DSM5 주요정신장애)) 분리불안장애 A. 주요 애착대상을 잃거나 그들에게 질병, 부산, 재난 혹은 사망과 같은 불길한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걱정한다B. 애착 대상과 분리될 수 있는 사건들에 대해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걱정한다C. 분리불안 때문에 외출하거나 학교나 직장 등에 거는 것을 지속적으로 꺼리거나 거부한다.D. 혼자 있게 되거나 주요 애착대상 없이 집이나 다른 장소에 있는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과도한 공포를 느끼거나 꺼린다E. 집을 떠나 잠을 자거나 주요 애착대상 없이 잠을 자는 것을 지속적으로 꺼리거나 거부한다.F. 분리를 주제로 한 악몽을 꾼다G. 주요 애착대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가 예상될 때 반복적인 신체증상을 호소한다 H. 주요 애착대상이나 집을 떠나야 할 때마다 심.. 2018. 2. 3. DSM5 주요정신장애)) 공황장애 DSM5 주요정신장애)) 공황장애 공황장애는 공황발작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공황발작은 극심한 공포와 고통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수분 이내에 최고조에 이르러야 하며 그 시간동안 다음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난다. (1) 심장이 평소보다 빠르게 뜀(2) 진땀, 발한(3) 몸의 떨림(4) 숨이 가빠지는 느낌(5) 질식할 것 같은 느낌(6) 가슴의 통증이나 답답합(7) 토할 것 같은 느낌(8) 어지러움(9) 비현실감(10)자신을 통제하지 못하게 되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11)죽음에 대한 두려움(12)감각의 이상이나 마비 (13)몸이 달아오르거나 추위를 느낌 2018. 2.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