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M5 주요정신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A. 실제적인 것이든 위협을 당한 것이든 죽음, 심각한 상해 또는 성적인 폭력을 다음 중 1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경험한다.
(1). 외상사건을 직접 경험하는것
(2). 외상사건이 다른 사람에게 일어난 것을 직접 목격하는 것
(3). 외상 사건이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게 일어났음을 알게 되는 것
(4). 외상 사건의 혐오스러운 세부내용에 반복적으로 또는 극단적으로 노툴되는것 (전자매체 제외)
B. 외상 사건과 관련된 침투 증상이 다음 중 한가지 이상 나타난다
(1). 외상 사건에 대한 고통스러운 기억의 반복적이고 침투적인 경험
(2). 외상 사건에 관련된 고통스러운 꿈의 반복적 경험
(3). 외상 사건이 실제로 일어난 것처럼 느끼고 행동하는 해리 반응
(4). 외상 사건과 유사하거나 그러한 사건을 상징하는 내적 또는 외적 단서에 노출될 때마다 강렬한 심리적 고통의 경험
(5). 외상 사건을 상징하거나 그와 유사한 내적 또는 외적 단서에 대한 심각한 생리적 반응
C. 외상 사건과 관련된 자극 회피가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1). 외상 사건과 밀접히 관련된 고통스러운 생각, 기억, 감정을 회피하거나 회피하려는 노력
(2). 외상 사건과 밀접히 관련된 고통스러운 생각, 기억, 감정을 유발하는 외적인 단서들을 회피하거나 회피하려는 노력
D. 외상 사건에 대한 인지와 감정의 부정적 변화가 다음 중 두 가지 이상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외상 사건이 일어난 후에 시작되거나 악화될 수 있다.
(1). 외상 사건의 중요한 측면을 기억하지 못한다
(2). 자신, 타인, 세상에 대한 과장된 부정적 신념이나 기대를 지속적으로 지닌다
(3). 외상 사건의 원인이나 결과에 대한 왜곡된 인지를 지니며, 이러한 인지로 인해 자신이나 타인을 책망한다.
(4). 공포, 분노, 죄책감이나 수치심등의 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지속적으로 나타낸다
(5). 중요한 활동에 대한 관심이나 참여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6). 다른 사람에 대해서 거리감이나 소외감을 느낀다
(7). 긍정정서를 지속적으로 느끼지 못한다
E. 외상사건과 관련하여 각성과 반응의 현저한 변화가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외상사건이 일어난 후에 시작되거나 악화될 수 있다.
(1). 자극이 없거나 사소한 자극에도 짜증스러운 행동이나 분노 폭발
(2). 무모거나 자기 파괴적인 생동
(3). 과도한 경계
(4). 과도한 놀람 반응
(5). 집중곤란
(6). 수면장해
'임상심리대학원생 > 이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M5 주요정신장애)) 공황장애 (0) | 2018.02.03 |
---|---|
DSM5 주요정신장애)) 주요우울장애 (0) | 2018.02.02 |
DSM5 주요정신장애)) 강박장애 (0) | 2018.02.02 |
DSM5 주요정신장애)) 시회공포증 (0) | 2018.02.02 |
DSM5 주요정신장애)) 특정공포증 (0) | 2018.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