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임상심리학회, 연예인 자살예방을 위한 5대 수칙 제안
지난 12월 18일, 아이돌 그룹 샤이니 종현의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진 이후, 연예 종사자 및 관계자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모 연예기획사 소속사 대표 또한 불의의 선택으로 유명을 달리한 바 있으며, 과거 故최진실, 故안재환, 故장채원과 같은 유명 연예인의 자살이 주변인과 대중에 미친 영향력을 비추어볼 때, 유명 연예인뿐 아니라 연예기획사 및 관계자 등 주변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유명인들은 평소에 공연이나 방송과 같은 공개적인 평가 상황에 빈번히 놓이고 순간의 성취나 사건에 따라 쉽게 판단되며, 타인의 평가에 예민해져 있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에 만성적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점에서 정신건강전문가의 지원 하에, 평소에 쉽게 취약해지는 특정 스트레스 원인에 대해 스스로를 살피고 개인 맞춤형의 대처방식을 고안하여 극단적인 선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기획사, 매니저 및 동료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심리교육 및 전문가 지원체계 구축을 통하여 부정적인 감정의 통로를 만들어 주고 건강한 방식으로 마음의 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진영 교수(現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는 “유명 연예인이 되면 일거수일투족이 모두 노출되는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에 놓일 수 있고 특히 청소년 시기에 데뷔하는 아이돌 스타들의 경우 사춘기 시절에 겪어야 할 자아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심리적 성숙을 발달시킬 여유가 없어 심리적 문제를 간과하기 쉽다. 또한, 자신의 우울감, 불안감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할 수 있으므로 연예기획사의 적극적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안준범 이음 심리상담연구소 소장은 “자살사고는 예방, 조기발견, 개입 및 사후 개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모든 과정에서 연예인의 주변인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했다. 이에 우울증, 공황장애 등 정신건강문제의 평가 및 심리치료의 전문가 집단으로 평가되는 한국임상심리학회에서는 연예인 자살예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5대 수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 연예인 자살예방을 위한 5대 수칙 제안
|
특히 미디어의 역할에 대해서도 제안하는 바, 해당 사건 자체에 대해 선정적으로 기사 내용을 다룰 때에는 모방자살의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대중의 자살사고와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세심하게 다룰 때에는 자살률을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므로 학회에서는 이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 도움말: 최진영(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및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 안준범(이음 심리상담연구소 소장)
자살시그널을 보낼때 주변인의 대처방법이 참 중요한것 같다.
깊이 있는 노래로 감동을 주었던 종현.
부디 그곳에서는 외롭지 않길....
남아 있는 가족들 외롭지 않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