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대학원생/청소년 자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사회심리적 요인 및 수면의 질이 피로수준에 미치는 영향

by 예쁜바다 2018. 2. 4.
  •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사회심리적 요인 및 수면의 질이 피로수준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firefighter’s job stress, social- psychological factor, and sleep quality and their relationship to fatigue Symptoms

  •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박사 학위논문
  • 이현주




  • 본 연구는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자기존중감, 통제신념) 및 수면의 질에 따른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이 피로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5개구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소방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자료 수집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은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p<0.001), 주관적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을수록(p<0.001), 여가활동을 하지 않을수록(p=0.003), 화재진압 업무 군과 운전업무 군에서(p=0.027), 교대근무를 한다는 군에서(p=0.009), 신체부담이 심할수록(p<0.001), 업무에 만족하지 못하다는 군에서(p<0.001),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직업전환의사가 있다는 군에서(p=0.007),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힘들수록(p<0.001), 업무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p<0.001),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직업전환의사가 있다는 군에서(p=0.007) 유의하게 높았다. 

  • 2.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은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p<0.001),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p<0.001), A형 행동유형일수록(p<0.001),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p<0.001),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에서(p<0.001), 잠자리에 든 후 30분 이내에 수면에 들지 못하는 경우가 일주일에 3회 이상이라는 군에서(p<0.001), 밤중에 잠을 깨는 경우가 일주일에 3회 이상인 군에서(p<0.001), 아침 일찍 잠을 깨는 경우가 일주일에 3회 이상인 군에서(p<0.001), 운전․식사 및 업무활동 중 졸음이 일주일에 3회 이상인 군에서(p<0.001), 잠들기 위한 약물사용이 일주일에 3회 이상인 군에서(p<0.001), 잠들기 위한 음주사용이 일주일에 3회 이상한 군에서(p<0.001) 유의하게 높았다. 

  • 3.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r=0.234, p<0.05), A형 행동유형(r=0.226, p<0.05)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자기존중감(r=-0.225, p<0.05), 수면의 질(r=-0.493,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4.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규칙적 운동을 하지 않을수록, 주관적 수면의 질이 나쁠수록, 여가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업무에 대한 신체적 부담 정도가 심할수록, 업무에 대한 적성이 맞지 않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A형 행동유형일수록, 자기존중감이 낮을수록 피로수준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2.7%이었다.

  • 5.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업무의 요구도, 업무 자율성,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지)은 사회심리적 요인이나 수면의 질보다 피로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 요인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높고, 동료의 지지도가 낮으며, 사회심리적 요인이 증가할수록,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피로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방공무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자기존중감 및 통제신념) 및 수면의 질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직무요구도, 업무의 자율성,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에 큰 영향 받고 있음으로 근무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